SMALL 전체 글637 2. 돈의속성 책에 나오는 필수 금융경제용어 90개 알아보기 경상수지, 고용률, 고정금리, 고통지수 뜻, 의미 용어 정리 2024.04.12 이전 포스팅에서 가산금리, 경기동향지수에 대해 용어정리를 해보았는데 지난 포스팅에 이어 돈의 속성 책에 나오는 경제용어 경상수지, 고용률, 고정금리, 고통지수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신문을 읽다 보면 경제 용어가 익숙지 않을 때가 있는데 경제용어 공부를 통해 경제 지식을 꾸준히 쌓다 보면 신문도 잘 읽히고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가 어떤 상태인지를 잘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국제 거래에서 수출과 수입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양이 양수이면 수지 흑자(잉여), 음이 양수이면 수지 적자(부족)입니다. 경상수지는 국가의 외환 보유량과 환율에 영향을 미칩니다. 경상수지는 국제 거래에서의 수출과 수입 간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이는 한 국가가 다른 국가들과의 물.. 2024. 4. 12. 미국 물가상승률 3%대, 소비자물가지수(CPI) 금리의 상관관계, 물가상승률 뜻 용어정리 2024.04.11 엔 달러 환율이 152엔을 돌파하고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시장 추정치를 웃돌며 여전히 3%대에 머물고 있다. 물가상승률이 잡힐 것이라는 예상과 다른 지표가 3개월 연속 나왔다. 물가상승률이 미국중앙은행(Fed) 목표치인 2%를 훌쩍 넘어서 상반기 금리 인하를 기대하기 어려워졌다는 전망이다.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약해지면서 달러가 더욱 강세를 나타내며 엔 달러환율은 152엔을 돌파해 1990년 6월 이후 약 34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금일 신문에 나온 소비자물가지수(CPI), 금리, 물가상승률에 의미와 상관관계에 대해 공부해 보자. 그리고 물가 지표가 나온 직후 10년 만기 미국 국채금리는 심리적 저항선인 연 4.5%를 넘겨 연 4.51%까지 뛰었다. 10년 .. 2024. 4. 11. 1. 돈의속성 책에 나오는 필수 금융경제용어 90개 알아보기 가산금리, 경기동향지수 뜻, 의미 2024.04.10 돈의 속성 (저자 김승호)이라는 책을 읽으면 경제용어 90여 개가 소개되어 있는데 돈의 속성 책을 워낙 인상 깊게 읽었던 터라서 한국은행 경제용어 700선을 정리하기에 앞서 돈의 속성에 나온 경제용어 90개를 먼저 소개해보려고 한다. 실제로 경제를 알고 경제 공부를 하려는 사람이라면 돈의 속성 책에 나오는 90여 개의 경제용어의 의미를 잘 알아야 하는데 나조차도 경제용어에 대한 공부가 부족한 거 같아 90개의 경제용어부터 차근차근 정리해보려고 한다. 가산금리 (Premium Rate): 의미: 금융 용어로, 일반적인 금리보다 높은 금리를 가리킵니다. 주로 위험이 높거나 불안정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추가 금리를 말합니다. 예시: 신용 등급이 낮은 개인이 대출을 받을 때, 은행은 위험이 높.. 2024. 4. 10. 한국은행 경제용어 700선 직접세와 간접세의 뜻과 의미 2024.04.09 한국은행 경제용어 700선에 나오는 직접세와 간접세에 대해 알아보자. 직접세와 간접세는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에 대한 용어이다. 직접세(Direct Tax): 직접세는 개인 또는 기업의 소득과 부의 일부에 직접적으로 과세되는 세율이다. 예를 들어 소득세, 재산세, 유산세 등이 직접세에 해당된다. 직접세는 개인 또는 기업의 소득이나 부의 규모에 따라 세율이 적용되므로 소득이 높을수록 고액의 세금을 지불해야 한다. 간접세(Indirect Tax): 간접세는 소비나 거래와 관련하여 부과되는 세금으로, 직접적으로 소득이나 부의 규모에 따라 부과되지 않는다. 대표적인 간접세로는 부가가치세(VAT), 소비세, 수입세 등이 있다. 간접세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세금이 포함된 가격을 지불하므로.. 2024. 4. 9. 이전 1 ···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