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경제이야기91 일본 금리 인상, ETF매입 정책 폐기에도 최저로 떨어지는 엔화, 펀더멘탈 용어 알아보기 2024.03.29 일본은행이 이달 마이너스 금리정책을 종료한 이후에도 엔화가치가 더욱 하락하고 있다. 기준금리를 올렸음에도 불구하고 통화가치가 더 약해지고 있다. 일본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 종료 기대는 이미 외환시장에 선반영 된 상태였다고 한다. 금리를 올리고 채권과 ETF매입 정책 등을 폐기했지만 국채 매입규모를 유지하겠다는 결정 등이 완화적으로 해석되고 있다고 한다. 더욱이 추가금리인상에 대한 기대감도 낮아지고 있는데 천천히 금융정책 정상화를 추진하겠다고 언급한 것이 완화적인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는 해석이 커지며 엔화 약세에 영향을 미쳤다는 다수의 의견이 있다. 또한 미국 금리 인하 시점이 지연되고 유럽 금리인하가 가시화되면서 달러화가 강세를 나타내는 것도 부담이다. 일본의 펀더멘털이 미국에 비해 .. 2024. 3. 29. 서울 강북권 상업지역 총량제 폐지, 화이트 사이트 (균형발전 사전협상제) 도입 2024.03.27 강북 상업지역 총량제를 폐지하고 화이트사이트를 도입한다고 한다. 강북권은 베드타운 이미지가 강한데 서울 강북권에 초고층 업무시설을 지을 수 있는 상업지역이 기존의 2~3배로 확대된다. 대규모 유휴부지에는 시행자가 토지용도를 자유롭게 제안하는 화이트사이트(균형발전 사전협상제)도 도입한다. 노원구 월계, 중계, 하계동 노후 단지의 용적률을 풀어 신도시급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강북권 일대가 50년 동안 베드타운으로 낙후돼 있고, 업무 상업시설은 강북권을 모두 합쳐도 도심의 60%에 그치기 때문에 상업지역총량제를 풀고 대규모부지에 균형발전 사전협상제(화이트 사이트)를 적용한다. 위에서 언급된 용어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상업지역총량제"는 한국의 도시 계획 및 토지 이용에 관련된 정책 용어입니.. 2024. 3. 27. 아시아 금융 허브 위기 홍콩 자본 이탈 가속화, 국내총생산 GDP, 사모펀드 PEF 등 뜻 용어 정리 2024.03.26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미국과 중국의 지정학적 갈등이 심화되면서 중국 당국의 홍콩에 대한 개입이 높아지며 홍콩 자본시장 침체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무역 갈등 심화로 인해 글로벌 투자금이 홍콩 시장을 떠나 싱가포르 등으로 떠났고 중국이 홍콩에 대한 규제를 더욱 강화하며 이탈 러시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홍콩 투자 시장이 위축되어 홍콩 투자금이 시장을 빠져나가며 정리해고가 연달아 이뤄지고 있다. 홍콩 경제는 금융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홍콩 경제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홍콩 국내총생산(GDP)에서 금융업 비중이 23%에 달하기 때문이다. 사모펀드(PEF), 밴처캐피털(VC) 투자금이 빠져나가는 등 자본시장이 급격히 냉각되면서 현지 투자은행 업계에 해고 바람이 불고 .. 2024. 3. 26. 2024 달라지는 청약제도, 신생아 특공 신설 등 2024.3.25 청약 개편 2024.03.25 금일부터 청약제도가 달라진다. 미성년자 통장 가입기간 최대 5년까지 확대되고 신생아 특공 신설 및 부부 중복 청약이 가능해지면서 혼인 출산 가구에 유리하도록 청약 제도가 개편되었다.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및 공공주택 특별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금일 25일부터 시행한다. 혼인신고 전 청약당첨 이력이 있더라도 청약 대상자 본인은 특별공급 청약을 넣을 수 있다. 부부가 청약 중복당첨이 되더라도 먼저 신청한 청약은 유효처리 된다. 특별공급 신청 소득 또한 완화될 예정인데 기존 1억 2천만 원에서 1억 6천만 원 이내로 변경된다. 또한 민영주택 가점 계산 시 배우자의 청약 통장 가입기간을 50%까지 합산해서 최대 3점 가산점도 부여받을 수 있다. 신생아 특별 우선공급은 입주자 모집일 2년 이내 .. 2024. 3. 25. 이전 1 ··· 18 19 20 21 22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