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전체 글637 부동산 공시가격이란? 부동산 공시가격 상향조정 현실화 계획 전면 폐지 2024.03.20 지난 정부에서 진행했던 공시가격 현실화 로드맵이 전면 폐지될 예정이다. 금일 신문에서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을 전면폐지하기로 했다고 한다. 부동산 공시가격이 우선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자 부동산 공시가격은 정부나 지방 정부가 공식적으로 결정하고 공개하는 부동산의 가격이다. 이는 부동산 시장에서의 실제 거래가격과는 다를 수 있으며, 공시가격은 세금을 산정하거나 공공시설 건설 등 여러 정책에 활용되는 중요한 지표이다. 문재인 정부 시기에 공시가격은 계속해서 부동산 시장의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문재인 정부는 부동산 시장 안정화와 공정성 강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이에 따라 부동산 공시가격에 대한 조정도 이루어졌습니다. 대표적으로, 문재인 정부는 과거에 비해 부동산 공시가.. 2024. 3. 20. 미중갈등심화와 미국 자국우선주의로 인한 차이나 엑소더스 뜻 알아보기 2024.3.19 미중 무역갈등 심화와 미국 자국우선주의로 인해 애플, 구글, 아마존과 같은 기업들이 탈중국화 하고 있다. 이에 대안책으로 떠오른 곳이 싱가포르이다. 실제로 글로벌 기업의 아시아 태평양 본부 위치를 싱가포르로 두고 있는 기업이 많다. 국가별 노동정책과 유연성 부문에서도 단연 1위를 달리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이 아시아 본부를 싱가포르에 두었다면 법인세 혜택도 챙겨갈 수 있다. 여러모로 글로벌 기업에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밖에 없는 곳이다. 차이나 엑소더스 현상으로 아시아본부를 옮기려는 기업이 많아지면서 한국으로 아시아 태평양 본부를 세우려는 글로벌기업들의 문의가 많아지고 있다고 한다. 한국, 싱가포르 일본이 대안책으로 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지리적으로 중국이랑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IT .. 2024. 3. 19. 미국 NPE 특허침해 청구소송, NPE란? 2024.03.18 1. 미국 NPE 특허침해 청구소송 미국 NPE(Non practicing entity 특허자산관리업체)가 삼성전자를 대상으로 특허침해청구소송을 제기했다. 구글, 애플, 아마존, LG전자 등 많은 기업에 특허침해소송건수를 비교해 봐도 NPE는 확연하게 삼성전자를 겨냥했다고 볼 수 있다. 삼성전자는 최근 5년 특허침해청구소송을 미국에서 404건 당했다. 반도체 스마트폰 가전 그리고 IT기술 중 제품군이 넓은 스펙트럼을 가진 기업이라 삼성전자가 다른 기업들보다 가장 좋은 타깃이 된다. 미국 NPE는 국내 기업 특허를 사들여 국내 기업을 공격하는 일명 부메랑 특허도 진행하고 있다. 소송에 걸리면 제품 판매 중지나 큰 손해배상액을 지불해야 할 수 있기에 가능하면 합의금을 주고 합의를 보는 방.. 2024. 3. 18. 한국 증시 부양책,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이란? 2024.03.15 연일 기업밸류업프로그램으로 인해 외국인들이 저 PBR주를 매수하고 있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란 무엇인지 우선 살펴보도록 하자.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은 한국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 모델을 참고하여 도입한 정책으로 2024년 2월 26일 발표됐다. 금융위원회가 제시한 핵심 내용은 상장사가 PBR(순자산비율)과 ROE(자기자본이익률)를 비교 공시하고 기업가치 개선 계획 등을 공표할 것을 권고하는 것이다. 개선 우수기업을 모아 상장지수펀드(ETF)를 도입하겠다는 계획도 덧붙였다. PBR이 1보다 낮다는 것은 회사를 당장 팔면 받을 수 있는 돈이 시가총액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요 목표는 상장 기업이 주주 가치를 높이기 위해 배.. 2024. 3. 15. 이전 1 ··· 149 150 151 152 153 154 155 ··· 160 다음